건강보험료는 직장인이라면 매달 반드시 부담해야 하는 고정 지출 중 하나입니다. 월급이 300만 원에서 500만 원 사이일 때 건강보험료를 얼마나 내고 있는지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. 이 글에서는 2024년 기준으로 월급 300만 원, 400만 원, 500만 원일 때의 건강보험료 계산법과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절약 팁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소득에 따른 기본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로 나누어 산정됩니다.
직장가입자란?
직장가입자는 건강보험료를 본인과 회사가 각각 50%씩 부담하는 형태로 납부합니다. 월급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산정되며 여기에는 기본 건강보험료와 함께 장기요양보험료가 포함되어 있어요. 직장가입자는 정기적으로 납부되는 보험료를 통해 안정적인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건강보험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~
- 2024년 건강보험료율: 7.09%
- 장기요양보험료율: 12.81%
지역가입자란?
지역가입자는 회사에 소속되지 않은 사람으로 소득뿐 아니라 재산, 자동차 등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가 산정됩니다. 직장가입자와는 다르게 보험료 부담이 크거나 변동 폭이 큰 편인데요. 지역가입자는 자신의 경제 상황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, 보험료 산정 기준을 잘 이해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직장가입자 월급별 건강보험료 계산
월급 200만 원 건강보험료
- 기본 건강보험료 = 200만 원 × 7.09% = 141,800원
- 근로자 부담분 = 141,800원 ÷ 2 = 70,900원
- 장기요양보험료 = 70,900원 × 12.81% = 9,079원
- 총 건강보험료 = 70,900원 + 9,079원 = 79,979원
월급 300만 원일 때 건강보험료
- 기본 건강보험료 = 300만 원 × 7.09% = 212,700원
- 근로자 부담분 = 212,700원 ÷ 2 = 106,350원
- 장기요양보험료 = 106,350원 × 12.81% = 13,625원
- 총 건강보험료 = 106,350원 + 13,625원 = 119,975원
월급 400만 원일 때 건강보험료
- 기본 건강보험료 = 400만 원 × 7.09% = 283,600원
- 근로자 부담분 = 283,600원 ÷ 2 = 141,800원
- 장기요양보험료 = 141,800원 × 12.81% = 18,166원
- 총 건강보험료 = 141,800원 + 18,166원 = 159,966원
월급 500만 원일 때 건강보험료
- 기본 건강보험료 = 500만 원 × 7.09% = 354,500원
- 근로자 부담분 = 354,500원 ÷ 2 = 177,250원
- 장기요양보험료 = 177,250원 × 12.81% = 22,713원
총 건강보험료 = 177,250원 + 22,713원 = 199,963원
건강보험료 아끼는 팁
건강보험료를 아끼기 위한 팁도 있습니다. 직장인 건강보험료는 고정 지출이므로 아래의 방법을 통해 절약할 수 있는 부분을 알아두면 좋습니다.
- 소득 변동 시 재산정 요청: 월급이 바뀌거나, 퇴사 후 재취업할 때 건강보험료를 재산정하여 현재 소득에 맞는 보험료를 적용받으세요.
- 부양가족 등록 활용: 가족 중에 직장가입자가 있다면 부양가족으로 등록해 지역가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연말정산을 통한 건강보험료 공제: 연말정산 시 건강보험료는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. 특히 소득이 적은 해에는 연말정산에서 공제를 신청하여 실질적인 세금 절약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마무리
2024 연말정산이 다가오고 있습니다. 건강보험료는 연말정산시 소득공제를 통해 세금 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직장가입자의 경우 매달 납부한 건강보험료가 연말정산 소득공제 대상이 되어 연간 부담한 금액을 소득에서 공제받을 수 있어요. 이를 통해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연말정산 서류 제출 시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은 자동으로 반영되지만 정확히 공제받는 것이 중요하니 이 글에서 안내드린 월급별 건강보험료 계산과 비교하여 꼭 확인해 보세요~
'재테크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 불황 대비! 저축과 투자 비율 조정으로 자산을 지키는 법 (4) | 2024.12.10 |
---|---|
연말정산 부양가족 공제 (0) | 2024.12.09 |
초보자도 쉽게 따라하는 비트코인 투자 방법 (2) | 2024.12.05 |
1억 모으기 방해하는 작은 습관들 (5) | 2024.11.21 |
카카오페이 은퇴계산기로 내 연금 계획 세우는 법 (3) | 2024.11.11 |